반응형

세계사 15

(서평) 글이 만든 세계 (마틴 푸그너) - 까치

문자는 인류의 발전에 가장 크게 기여한 발명품이라고 할 수 있다. 말이 문자가 되면서 지식은 보다 널리 오래 지속될 수 있었다. 소실되던 지식은 사라지고 점점 쌓여 지금의 인류를 만들었다. 글은 인간에게 진화의 속도를 넘어 진화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문자가 만들어낸 글은 생물과 다르지 않다. '밈'이라는 책을 보면 문명, 지식이라는 거 자체도 적자생존 속에 있다. 많이 쓰이는 것들이 득세하고 남는다.   인류를 이끌었던 때론 영감을 주고 때론 숭배하기도 했던 텍스트에 대한 얘기는 까치글방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유물이 인간의 삶을 얘기한다면 글은 인간의 생각을 담고 있다. 세월의 풍파 속에서 이미 소실된 많은 문자들 속에 운 좋게 지금에 이르게 된 것들이 있다. 그리고 그 글들은 누군가의 노력..

(서평) 컬처, 문화로 쓴 세계사 (마틴 푸크너) - 어크로스

인류의 발전을 여러 측면에서 바라보는 건 좋은 일인 것 같다. 역사적 사실을 열거하며 기술하는 많은 역사서가 있는가 하면 세계를 포괄하는 광범위한 연결고리를 찾으려고 하는 책 또한 존재한다. 역사는 지금의 우리를 이해하는데 꽤나 중요하다. 공동체나 민족은 또 다른 민족과 섞이며 새로운 민족이 된다. 문화도 마찬가지다. 고유함을 띄는 것도 있지만 새로운 것은 더 이상 고유하지 않게 받아들이기도 한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 또 그것은 고유한 문화가 된다. 국경의 분류보다 더 복잡하고 더 쉽게 섞여 버리는 문화에 관한 이야기는 어크로스 출판사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문화라는 건 어떻게 만들어질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들의 고유문화가 있다고 생각한다. 나 또한 그렇다. 그렇다고 그 고유한 문화가 순수한..

(서평) 부의 세계사 (윌리엄 번스타인) - 포레스트북스

아프리카 남쪽 어느 지점에서 시작된 인류는 조금씩 이동을 시작해 세계 곳곳에서 살고 있다. 부의 축적이 시간의 문제라면 아프리카는 가장 부유하고 강한 나라여야 하지만 실상은 제3 세계로 분류되는 빈곤 국가다. 고대에 가장 부유하고 강했던 초승달 지역은 분쟁 지역이 되었고 중국의 황허강 유역은 이제야 다시 과거의 영향을 찾으려 한다. 그러는 사이 부는 유럽에서 집중되었고 미국으로 옮겨졌다. 이 모든 것은 인간이 거스를 수 없는 일이었을까? 부를 이뤄내기 위해 네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이 책은 포레스트북스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부와 권력의 이동에 대한 책들은 많다. 여전히 많은 독자에 사랑받고 있는 부터 광범히 하게 다루고 있는 , 전쟁과 문명으로 이를 알아보는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

전쟁과 평화 (아자 가트) - 교유서가

인간은 왜 싸울까? 그리고 폭력성이 사라지는 건 문명화의 과정인가?라는 질문은 한 번쯤은 해볼 만하다. 스티븐 핑커 교수는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들이 깨어나고 있다고 말했지만 그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다. 그렇다면 아자 가트의 이 책을 읽어볼 필요가 있다. 에서 전쟁 부분을 따로 떼어내어 더욱 자세히 서술한다. 인간에게 폭력성은 줄어들고 있지만 그 이유는 복합적이라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전쟁을 국가 단위로 정의하고 이것을 하나의 발명품처럼 취급하게 되면 우리는 근본적인 이유를 찾을 수 없게 된다. 국가라는 것도 결국 인간이 만든 것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욕구 체계를 얘기하지 않고서 전쟁을 논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다. 전쟁은 그저 규모가 커진 다툼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우리는 2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

(서평) 엣지, 한 끗의 차이를 만드는 내 안의 힘 (로라 후앙) - 세계사

'엣지 있는'이란 말은 우리나라에 있는 말이지만 참 좋은 말인 것 같다. 서문에도 실려 있는 BTS의 RM의 인터뷰는 나도 본 적이 있다. 자신보다 훨씬 잘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나에게도 나만의 모서리가 있지 않을까 싶다. 그때 사용한 '모서리'는 내가 느끼기에 순수하게 우리가 쓰는 말인 것 같았다. 나에게도 엣지가 있다. 멋이 있다.라는 느낌이었다. 세상의 편견과 오해를 외면하지 않고 마주하면서 자신다움을 가져 나가는 자세에 대한 얘기를 다룬 이 책은 세계사 출판사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이 책은 굉장히 현실적인 책이라는 느낌을 받았다. 노력이 폄하되어서는 안 되지만 노력으로 모든 것이 해결될 거라고 믿는 것도 막연하다는 거다. 세상은 나 스스로 살아가지만 선택의 반복 속에서 내가 아닌 타인에 의..

(서평) 비잔티움의 역사 (디오니시오스 스타타코풀로스) - 더숲

이라는 작품으로부터 시작된 이스탄불을 중심으로 하는 동서양의 용광로를 지배했던 역사에 대해 궁금증이 생겼다. 서양과 동양의 세력들이 주거니 받거니 하며 지배했던 이 땅은 서로를 적대하면서도 서로를 탐했다. 수많은 민족, 수많은 문화가 섞여 새로움이 만들어지던 공간. 많은 학자와 예술가를 품었던 공간. 그중 하나인 비잔티움의 역사에 대해 자세히 적혀 있었다. 로마의 뿌리 위에 그리스를 탐하던 제국. 기독교 세계 최대의 도시였던 비잔티움의 역사를 담고 있는 이 책은 더숲 출판사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서양사를 읽을 때마다 곤욕스러운 것은 역시 엄청나가 긴 이름들이다. 게다가 비슷하기도 하고 2세, 3세 등으로 이름을 붙여 나가 머릿속이 복잡하다. 소설이야 등장인물이 반복해서 등장하기에 어느 정도 익숙..

(서평) 죽음이 물었다 (아나 클라우디아) - 세계사

어릴 적 냇가에서 물놀이를 하다 굴삭기가 파놓은 구덩이가 있는 줄도 모르고 물속 깊이 빠졌다 다시 운 좋게 제자리로 돌아온 기억이 있다. 교통사고를 극적으로 피한 순간도 있었다. 축의금을 내러 가는 횟수보다 조문을 하는 일이 더 많아졌다. 죽음은 어느샌가 내 옆에 와 있다. 나이 든 부모님을 뵈면 문득 어떤 기분으로 마주해야 하나 상상을 해보다가도 이내 떨쳐버리고 만다. 죽음 누구에게나 공평하지만 마주하고 싶지 않은 단어다. 저자가 얘기한 눈을 가리면 마치 마주하지 않을 것은 기분으로 애써 외면하며 살아가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죽음에 대해 직설적으로 얘기하며 죽음은 마주해야 하는 소중한 기회라고 얘기하는 이 책은 세계사 콘텐츠 그룹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원래부터 완화 치료, 안락사를 지지하는..

(서평) 전쟁과 약, 기나긴 악연의 역사 (백승만) - 동아시아

전쟁은 승자와 패자가 없는 모두가 피해자인 끔찍한 역사다. 야만은 전쟁터를 휩쓴다. 하지만 이기기 위한 절박함은 인간에게 새로운 발전을 가져다 주기도 한다. 민족이 섞여 문화와 과학이 발전하기도 할 뿐 아니라 전쟁 그 자체를 위해 기술은 엄청난 가속력을 얻는다. 전쟁은 소모전이다. 만든 것을 끊임없이 소비하고 또 빠르게 생산해야 한다. 짧은 순간에 더 획기적인 것을 만들어야 한다. 전쟁이 끝나면 남아 있는 것들의 활용을 또 고민해야 한다. 전쟁은 약과 닮았다. 약이면서 독이다. 전쟁 속에서 태어난 수많은 약들의 에피소드를 얘기하는 이 책은 동아시아 출판사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전쟁하면 폭탄과 폭격기, 탱크, 군함 같은 전쟁 물자가 생각날지도 모르겠지만, 핵과 더불어 비대칭 무기로 불려지는 생화학..

(서평) 역사선생님도 궁금한 101가지 세계사 질문사전 1 (김영옥 외 10명) - 북멘토

세계사는 그 범위가 방대하고 문화적으로도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많아서 생각보다 흥미를 가지기 쉽지 않은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세계사 속의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읽게 되면 비로소 그 재미에 빠지게 된다. '역사보다 완벽한 서사는 없다'라는 말이 있듯이 인류가 살아온 이야기는 어느 소설보다 재밌고 완벽한 스토리를 가지고 있다. 비록 승자의 기록으로 남아 있을지라도 과거의 일을 돌아보고 지금의 일을 생각할 수도 있다. 세계사에서 흥미로운 이야기만 뽑아 101가지의 질문으로 시선을 끄는 이 책은 북멘토 출판사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질문 사전 답다고 할까. 3의 챕터로 나눠 놓았지만 서양과 동양 그리고 아랍, 아프리카까지 종횡무진한다. 서양의 이야기나 중국의 이야기는 자주 접하다 보니 익숙했지만 아..

1493 (찰스 만) - 황소자리

콜럼버스는 신대륙을 발견한 위대한 탐험가라는 찬사를 듣던 인물이었다. 최근에 들어서 그는 잔혹하고 망상에 빠진 제국주의의 앞잡이라는 평가절하를 겪고 있다. 제국을 이끈 수많은 영웅들의 업적은 칭송받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전쟁이라는 잔인함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콜럼버스는 아메리카로 진출해 결국은 영원히 그 땅을 차지하게 된 유럽인들의 첫발을 내디뎠다. 그가 한 정치적인 행동 이면에는 생태학적이 변화의 바람도 있었다. 판게아 쪼개진 이후 각각의 대륙은 고유의 생태계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었다. 특히 아메리카 대륙은 대서양과 태평양으로 철저하게 고립되어 있었다.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의 발견은 그동안 분리되어 있던 생태계를 잇는 역할을 했다. 이 작업은 지구상의 거대한 번역을 일으켰다. 호모제노센(H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