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단한 상표는 아니지만 이것도 한 가지 환경 설정이라고 생각하고 내 브랜드를 등록하기로 해본다. 우선 상표권 등록은 법무법인에 맡겨도 그렇게 비싸지 않은 금액으로 진행할 수 있는 듯했지만 상표만큼은 전문가가 접근하기에도 그렇게 어려움이 없기에 직접 해보기로 했다. (친구가 관련 일을 해서 다행이다..)
1. 특허 고객 등록
상표권을 등록하려면 우선 '특허고객등록'이라는 것을 해야 한다. 상표권도 특허청에서 관리하기 때문이다. 우선 '특허로' 웹사이트로 가면 특허고객이 되어야 여러 업무가 진행 가능하다.
https://www.patent.go.kr/
www.patent.go.kr
특허로 우측 상단에는 특허 고객 등록이라는 문구가 있으며 이건 일종의 로그인이다. 일단, 특허로를 이용하려면 일 년에 4400원 지불하는 범용 공인인증서가 필요하기 때문에 일단 가까운 은행에서 발급받도록 하자. (사실 금융 인증서로는 안 해봤다. 범용이라고 딱 지정되어 있어서... )

여기서 '특허고객등록'이 가능하며 특허 고객이 되면 범용 인증서 등록하여 카카오나 네이버로 간단 접속도 할 수 있다. 등록에는 범용 인증서만 있으면 별 어려움 없이 진행할 수 있었다. (캡처해두는 걸 깜빡했다.) 그리고 몇 시간 지나면 바로 고객번호를 받을 수 있다.

신청 결과 조회를 하면 바로 알 수 있다. 사실 여기까지만 해도 뭔가 벅차다. 새로운 일을 해서 그럴거다. 특허는 변리사들만 하는 거 아닌가 싶다는 생각이 강했기 때문이다.

2. 상표권 등록
상표권 출원은 정리할까 싶었는데, 잘 정리된 사이트가 있어서 링크로 남긴다. 두 번째 방법인 특허청에서 제공해주는 템플릿을 이용하는 것이 여러모로 편하다. 상표권도 분명 홀로 내실 분들이 대부분일 테니까.
상표출원 혼자서 하는 방법 모두 알려드립니다. | 기율특허법률사무소 상표출원서를 제출하고
상표출원 혼자서 할 수 있다라는 글들에 대해서 자주 보시지만, 실제적으로 상표출원서를 어디서 어떻게 제출해야 할지 구체적으로 알려주는 곳들이 적습니다. 따라서 오늘은 상표출원서를 프
kiyul.co.kr
등록이 끝나면 출원 번호를 받을 수 있고 수수료를 납부해야 한다. 수수료는 특허로 사이트의 수수료납부/온라인납부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납부할 수 있다. 상표권 등록은 보통 10 ~ 15개월 정도 소요 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제 푸근하게 기다리는 일만 남았다.
사실 그렇게 대단한 상표는 아니지만 역시나 나의 행동을 강요하고 만든 스스로의 덫과 같다. 앞으로도 열심히 하자.
'글쓰기 +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 2년만에 대장내시경 (3) | 2023.12.08 |
---|---|
관현악 대회, 합주 대회 (태백에서 대구까지) (0) | 2023.09.04 |
일인 출판사 등록 완료 (0) | 2023.08.08 |
(영화) 엘리멘탈 보기 (0) | 2023.07.29 |
복식 호흡과 스타카토 (목소리는 발성이래) (1) | 2023.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