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에세이 88

모든 날에 모든 순간에 위로를 보낸다 (글배우) - 강한별

글배우님과의 첫 만남은 이라는 책이었다. 나는 회사일로 아내는 육아로 많이 힘들어 있던 상태였다. 책 제목은 나를 이끌 수밖에 없었고 수많은 공감과 위로로 함께 했던 책이었다. 그런 글배우님의 신간 를 읽어 보았다. 님의 글은 여전히 좋았지만, 내 상황이 위로가 필요하지 않아서 그런 것인지, 작가님이 힘들었던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그날의 감동에는 미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위로가 필요한 이들에게는 분명 많은 힘이 될 것 같다. JTBC 에서 배우 유선님이 동생들에게 전달하는 글에서도 이 책의 글은 인용되기도 했다. 이런 글귀를 소중한 사람을 통해서 듣게 된다면 그 감동은 이로 말할 수 없을 것 같다. 최근에는 힐링과 위로의 말들을 적어내는 사람들이 부쩍 많아졌다. 타인을 위로하면서 자신..

(서평) 이왕이면 행복해야지 (도대체) - 은행나무

은행나무 서포터즈 2번째 도서는 도대체님의 다. 프리랜서를 선언하고 어려움을 겪던 시절에 님은 반려견 와 함께 산책을 다녔다. 그 길에서 만난 길고양이들과의 인연과 에피소드를 고스란히 담았다. 길고양이를 애정 어린 눈으로 보았을 때에만 관찰할 수 있는 순간과 에피소드가 좋았다. 나도 어린 시절 야생 고양이를 키운 적이 있다. 시골이었기에 길고양이라기보다는 야생고양이라고 얘기하는 것이 맞을 것 같다. 그들은 사실 길고양이들보다 더 사람을 경계한다. 닭들을 키웠던 작은 방에 넣어두고 매일 같이 밥을 주며 정을 나누었던 예전 생각이 많이 났다. 사나웠던 고양이가 나에게 사납지 않게 되었다는 것은 엄청난 기쁨이었고 어느 날 어머니가 갑자기 다른 사람에게 고양이를 줘 버렸던 날의 슬픔은 이로 헤어릴 수 없었다. ..

여보 나좀 도와줘(노무현) - 새터

사실 노무현이라는 사람을 그렇게 관심 있게 보지는 않았었다. 나는 영남에 살았으며 그중에서도 보수적이라면 순위를 다투는 서부 경남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그 영향이 알게 모르게 있었는지도 모르겠지만 정치는 조금 떼 깔 나는 사람들이 해야 한다고 생각했었던 것 같다. 그 당시에는 이회창 총재가 한나라당 대권 후보였다. 대쪽같은 이미지에 냉철한 판단력이 돋보인다고 느꼈고 아들 군 비리 때문에 아비의 능력이 평가절하되는 것이 조금은 이해하기 어려웠다. 나는 그때 이회창 후보에 투표를 했었다. 노무현 후보가 대통령이 된 후 사실 궁금했다. 왜 저 사람에게 그렇게 열광을 할까? 그 사실을 아는대는 그렇게 오랜 시간이 필요하지는 않았다. 노무현이라는 사람은 꽤나 보수적인 사람이었다. 국민들과 나라를 위한 일만 생각했..

일기일회 (법정) - 문학의 숲

내가 무소유라는 것을 접하고 법정 스님을 알게 되었을 때는 스님은 이미 열반에 드신 이후였다. 그 당시에는 말하기 좋아하는 법륜 스님의 강연이 한 참 유행이었는데 과묵해 보이고 자신에게는 한 없이 냉정하고 다른 것에는 한 없이 따뜻한 스님의 모습이 참 멋지다고 느꼈던 것 같다. 스님께서는 열반에 드시는 그 순간에 세상의 자신의 흔적을 모두 없애라고 하시어 책들도 모두 일시에 절판이 되어 버렸다. '무소유'라는 책은 중고가 천정부지로 뛰어올라 구매할 엄두가 나질 않았고, 대신에 이 '일기일회'라는 책을 구매해서 읽어보게 되었다. 미니멀라이프라던지 '정리의 기술' 같은 키워드가 한참 유행했지만, '무소유'의 언행일치를 해오신 법정 스님의 흔적이어야 말로 너무 많은 것이 치여 사는 현대인들에게 조금이나마 들어..

보통의 언어들 (김이나) - 위즈덤하우스

나는 노래 가사나 방송에 듣게 되는 김이나 작사가의 말을 좋아한다. 같은 말이 예쁘게 혹은 서정적으로 표현되는 그 순간이 좋다. 잔잔한 목소리는 약간의 덤이다. 이 책은 에세이로 분류되어 있지만 에세이는 약간 곁들여진 느낌이고 단어의 의미, 쓰임 등을 얘기하고 있는 약간의 강의적인 요소도 많이 있다. 에세이 마니아라면 낯선 책일 것이고 말과 단어에 집중한다면 좋은 느낌을 받을 수 있는 책이기도 하다. 그냥 그러려니 하고 읽고 넘길 수 있는 책일 수도 있지만 뭔가 알 것 같은 느낌에 페이지를 잡고 있기도 한다. 약간 오락가락하는 면이 있지만 나에게는 좋은 책이었다. 책을 읽고 있자니 김이나 작사가가 단어를 얼마나 정성 들여 사용하는지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세종대왕님이 주신 축복 같은 한글은 같은 의미를..

버티다 버티다 힘들면 놓아도 된다 (윤지비) - 강한별

팀장 3년 차에 맞은 코로나 19는 안 그래도 힘들었던 팀장의 자리를 더욱 힘들게 했었다. 사업의 주 무대가 중국이었기 때문에 중국으로의 인원의 조정은 답 없는 문제를 풀어내는 힘듦의 연속이었다. 뾰족한 대안도 없는 상태에서 다그치기만 하던 윗분들의 태도에 신물이 났고, 사람보다 돈을 중요시하는 태도에 다시 한번 진로를 고민하게 되었다. 그 시절의 내 마음과 책의 제목이 묘하게 오버랩되어 읽기 시작했다. 사실 나도 내 한계가 오면 놓을 요량이였다. 책이라고는 잃을 마음의 빈 공간이 없어서 독서와 이별하고 있었는데, 얇은 책에 용기를 낼 수 있었다. 덜썩 사는 일이 많은 나는 책을 읽으면서야 비로소 이 책이 에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매할 때에는 철학을 논하는 책일 줄 알았는데.. 삶이 철학이니 뭐..

가족이라는 병 (시모주 아키코) - 살림

이 책을 고르는데 가장 큰 이유는 번역자이다. 에쿠니 가오리 님의 '냉정과 열정 사이'를 읽은 이후 이 저자와 번역자의 책들은 믿고 보는 경향이 좀 있었다. 이 책의 번역자도 바로 김난주 님이다. "우리 시대의 가족을 다시 생각한다." 굉장히 감성적인 카피였다. 제목 + 카피 + 번역자 나에게는 꽤 완벽한 조합이였다. 책의 분류가 심리학/심리치료로 되어 있지만, 이 책은 에세이로 분류해야 했다. 개인적으로 이 책은 조금 위험한 생각의 경계를 가까스로 넘지 않았다는 느낌이 있다. 그 위험한 생각은 말로 표현하기 힘들지만, 어릴 때 불화를 겪고 가족이 죽고 나서야 가족이 궁금해진 노년을 살고 있는 작가의 푸념 섞인 얘기들이 많기 때문이다.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모든 것을 이해하고 용서해야 한다는 병적인 믿음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