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브를 배우고 나서부턴 플레이가 점점 더 공격적으로 변한다. 우선 걸고 본다는 생각이 머릿속을 지배하다 보니 계속 무리를 하게 된다. 내 능력 밖의 공은 넘겨줘야 하는데 혼자 실수를 하고 점수를 내어 준다.
예전에는 커트와 푸시 연결에 이은 스매싱이 주 득점원이었다. 보스커트를 하며 상대의 회전을 푸는 걸 곧잘 했던 나는 상대가 당황하며 띄운 공을 스매싱으로 마무리하곤 했다. 조금의 회전 정도는 이겨낼 정도로 정확도도 높았다.
드라이브를 배우고 실수가 급격하게 늘어나니 안정감이 점점 사라지고 조급해진다. 다음 공을 자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드라이브로 마무리하고 싶어 하다가 또 실수하게 된다. 드라이브로 친 공이 꽤나 멋지지만 드라이브 본연의 의미를 기억하지 못하게 된 것이다. 드라이브는 회전을 만들어 공을 상대방 테이블에 안정적으로 넘겨주는 게 목표이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점점 수비 기술들이 엉망이 되어 갔다. 블록, 보스커트, 푸시 모두 엉망진창이다. 질문도 드라이브, 연습도 드라이브만 했으니 말 안 해도 알만 하다.
"탁구 정말 못 치네"
동호회 회장님이 뼈를 담은 농담을 던진다. 상대의 커트 서비스도 맞아 넘기지 못할 정도로 엉망인 기술. 엄청난 헛스윙. 도대체 놓아주고 넘겨줘야 하는 상황에도 걸려고 덤빈다. 아무래도 멋진 드라이브에 집착하고 있는 게 아닌가 싶다.
"넘겨요. 넘기고 봐야지. 내가 실수해도 1점, 상대가 잘해도 1점이야. 내가 넘겨줘야 상대도 실수할 확률이라는 게 생기지"
2부 회원의 말을 관장님이 잇는다.
"탁구, 너 혼자 쳐? 상대도 실수할 기회를 줘"
멋있는 게 장땡이지만.. 이겨야 멋있으니까.. 기본부터 다시 하자.
'글쓰기 + > 탁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와의 게임은 득일까 실일까 (2012.10.31) (0) | 2023.11.13 |
---|---|
헛스윙부터 드라이브까지 (2012.10.25) (0) | 2023.10.31 |
권총 증후군 (2012.12.10) (0) | 2023.10.18 |
해보고 싶은 거 전면 숏핌플 (2018.12.20) (0) | 2023.10.07 |
키네틱 스피드 중펜 개조(2018.11.28) (0) | 2023.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