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바다출판사 3

밈 (수전 블랙모어) - 바다출판사

'밈'이 가장 성공한 밈이다. 리처드 도킨스가 '밈'이라는 정의를 가지고 나온 뒤 밈이 이렇게 널리 퍼지게 될 거라곤 생각이나 했을까? 유튜브나 틱톡 상에는 '밈'이라는 이름을 달고 여러 챌린지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생물학적 유전을 벗어난 문화적 유전 '밈'은 이제 우리에게 너무 익숙한 것이 되어 버렸다. 이렇게 유쾌한 '밈'이지만 어떻게 보면 리처드 도킨스가 를 쓰면서 남겨 두었던 하나의 탈출구였던 '밈'이었다. 유전자 단위에서 모든 것이 결정되고 개체는 하나의 운반자로서 복제자의 충실한 종일뿐이라는 숙면론을 벗어나기 위함이기도 했다. 인간은 유전자에 유리하지 않는 일을 스스럼없이 한다. 이것은 유전자들의 각축장인 개체는 그 자체로 또 하나의 판단을 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 책은 과감하게도 '밈'..

인간 등정의 발자취 (제이콥 브로노우스키) - 바다출판사

, 등과 같은 책을 읽고야 인류사에 대한 책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리고 아무 의심 없이 유발 하라리나 제널드 다이아몬드가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들로 하여금 시작된 관심은 우리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이미 많은 학자들이 인류사를 다루고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수많은 책들 중에 는 역사서 이상의 무언가를 가지고 있는 느낌이 있다. 제목과 같이 인류가 지구상에 출현한 뒤 지금의 모습이 될 때까지의 모습을 서술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 우리가 맞닥뜨린 암울함 속에서 좌절하지 않도록 위로한다. 이제는 개인의 지식은 보잘것없이 보일 정도로 인간의 지식수준은 거대하다. 이라는 말이 유행어처럼 쓰이는 지금의 시대에 우리는 그저 '교육받은 무식한 사람'으로 살아가야 함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것도 사실이다...

자기 역사를 쓴다는 것 (다치바나 다카시) - 바다출판사

지인로부터 추천받은 이 도서는 제목부터 강렬했다. 자서전이라는 것은 남들이 보기에도 큰 발자취가 있는 사람들이나 쓰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어떻게 보면 나도 나 자신에게 엄격했는지도 모르겠다. 자기 역사를 쓴다는 것은 인생의 2막을 준비하기 전 자신이 살아온 날들을 기록하면서 자신에 대해서 제대로 정의 내릴 수 있게 만들어 준다. 뿐만 아니라 지나온 날들 중에 있었던 아픔과 고통에서부터 나를 치유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자신의 역사를 적어가면 나 이외의 사람들의 역사를 남길 수 있다. 가족들과의 역사뿐 아니라 지인들의 역사를 기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시대의 역사를 남길 수도 있다. 우리는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 할 때에도 자신의 얘기를 잘하지 않는다. 부모가 어떤 삶을 살아왔는지도 어렴풋이 알 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