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간단하게 얘기하자면 흔해 빠진 혹은 전형적인 타입을 뜻한다. 원래 의미는 특정 대상이나 집단의 구성원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이 전반적으로 적용하는 과도하게 단순화된 믿음이나 공정적 견해인 스키마를 뜻한다. 이 용어는 W. 리프먼의 <여론>에서 사용되었다. 책에 따르면 스테레오 타입은 먼저 보고 나서 정의를 내리는 것이 아니라 먼저 정의를 내리고 나서 보는 것. 외계(外界)의 어떤 방도도 없고 혼란 속에서 문화가 이미 정의를 내린 것을 선택하고 문화가 유형화한 그대로 그 선택된 것을 자각하는 것이라 정의했다. 공동체 생활을 하는 인간이 스테레오 타입에 영향을 받는 것은 당영한 이치이며 경계해야 할 것이기도 한다.
스테레오 타입은 때때로 왜곡되어 일반화된 형태를 띠고 있기도 한다. 서양인은 모두 키가 크고 색이 있는 눈을 가졌을 거란 것이라는 것이 보통의 스테레오 타입이다. 하지만 실상 그렇지 않은 사람이 훨씬 많다. 스트레오 타입은 사회적 차별에도 영향을 준다. 집안일은 여성이 더 잘한다던지 남성이 더 활동적이고 이성적이라는 판단들이 그렇다. 때때로는 말을 더듬으면 어눌하다는 것 등이 있다.
스테레오 타입은 일반적인 글쓰기에서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스테레오 타입을 이용하여 캐릭터를 설정한다. 그런 면에서 클리셰와도 통하는 면이 있다.
반응형
'정보수집 > 문학 | 사회 |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다이즘(Dadaism) (0) | 2022.11.28 |
---|---|
누아르/느와르 (0) | 2022.05.26 |
구루(Guru) (0) | 2021.11.24 |
넝마주이 (0) | 2021.11.23 |
보바리즘(Bovarysme) (0) | 2021.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