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룡소 4

(서평) 미스터리 철학 클럽 (로버트 그랜트) - 비룡소

세상이 빠르게 변화하면서부터 인간을 위한 기술인지 기술을 위한 인간지 모호한 상황이 종종 연출되기 시작하였다. 학교에서 가르치던 보편적인 교육은 쓸데없는 것으로 치부되고 바로 쓸 수 있는 기능적인 것들에 집중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사람들이 많았다. 회사를 위해 일할 노동자를 위한 교육 말이다. 일의 가치는 소중할 수 있지만 창업자가 될 수도 있는 아이들에게 노동자를 권하는 사회가 되어 가고 있다. 마치 A학점 학생은 C학점 학생의 직원이 되고 B학점은 공무원이 된다라는 책이 생각나듯 말이다. 아이들에게는 생각의 힘을 길러야 하고 스스로 판단하고 헤쳐나갈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그 근원적인 질문은 철학으로 할 수 있다. 철학은 고리타분하고 어려운 것으로 생각될 수 있지만 삶 자체가 철학이기도 하다..

기억 전달자 (P.크레이그 러셀) - 비룡소

로이스 로리 원작의 를 그래픽 노블로 각색한 책이다. 원작의 감동이 식기 전에 한번 읽어보려고 급히 구매하였지만 각색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너무 똑같아서 읽는 내내 감동은 없었다. 다르게 얘기하면 원본의 이야기를 너무 충실하게 따랐는데 이것이 이 책을 매력 없게 만들었던 것 같다. 원작의 얘기를 너무 많이 담으려 했기 때문에 페이지에 들어가는 컷 수가 많아졌고 글이 많아졌다. 글자수가 많아지다 보니 글자 크기가 작아져서 읽기 힘들었다. 전체적으로 산만했다는 느낌이다. 이 책의 좋은 점이라고 한다면 원작에서 중요한 대화나 내용을 그대로 담아 두었다. 그래서 원작을 보지 않은 사람에게는 원작에서의 중요한 대화를 놓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며 원작에서 글로 표현한 부분을 상상하기 힘들다면 이 그래픽 노블은 많은..

기억 전달자 (로이스 로리) - 비룡소

이 책은 제목에서 풍기는 단순한 호기심보다 훨씬 많은 이야기를 얘기해준다. 이야기 속에서는 마을에서 가장 높은 존경을 받는 사람이 바로 다. 기억 보유자는 아무나 될 수 없으며 선택되어야 한다. 주인공인 가 바로 새로운 기억 보유자에 선택이 된 것이다. 평화로운 마을. 행복한 가정을 이룬 한 가정의 평범한 이야기로 책은 시작한다. 평범한 가족, 평범한 학교생활을 하는 아주 평범한 그림이다. 하지만 이내 이상한 점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태어나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입양이 되고 리본을 달아주며 9살이 되면 자전거를 받고 12살이 되면 장래에 가질 직업이 주어진다. 모든 직위는 위원회에서 내려준다. 아무 문제도 일어나지 않는 세상 그것이 이 책 속의 세상이다. 에서는 변화를 거부하며 모든 세상은 무채색으로..

알퐁스 도데 단편선(별) - 비룡소

알퐁스 도데라면 '별'과 '마지막 수업'으로 교과서에 자주 만나 익숙한 소설이다. 그냥 갑자기 '별'이라는 것이 읽고 싶어서 구매했는데, 단편이라는 생각은 하지 못한 채 단편선을 구매하게 되었다. 도데의 단편을 읽으면서 계속 무언가를 말하다가 말려는 듯한 내용에 집중을 못하였다. 단편이라는게 짧아서 금방 읽어낼 것 같지만, 장편들만큼 세세하게 표현해주지 않기 때문에 더 어려운 면이 많다. 그리고 무엇을 얘기하고 싶은지도 모르겠다. 하긴 소설이라는게 꼭 무언가를 얘기해야 하는 것은 아니겠지. 프랑스의 아름다운 마을 사람들도 그리고 평범한 에피소드 좋은 시선으로 보면 평화롭고 아름다운, 자잘한 얘기들은 있지만 극적인 요소는 분명 없다. 아마 있어도 짧은 순간에 담아내 힘들 것이다. 소설들은 같은 지명을 자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