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술 6

MIT 테크놀로지 리뷰 코리아 Vol 18 (2025년 1/2월호) - 디엠케이글로벌

작년에 사두고 올해 읽는 2025년 10대 미래 기술. 한 해의 시작은 MIT 테크놀로지 리뷰로 시작한다. 어느 순간부터 AI가 도배되어 있었지만 작년부터 AI는 언급할 이유도 없을 만큼 당연한 것이 되어 버려서 되려 다시 무난해져 버린 느낌이다.10가지 주목하는 미래 기술은 다음과 같다.- 베라 루빈 천문대- 생성형 AI 검색- 소형 언어모델- 소 트림 감소제- 로보택시- 청정 제트연료- 고속학습 로봇- 장기지속형 HIV 예방제- 녹색철강- 효과적인 줄기세포 치료  가장 주목받는 것은 생성형 AI 검색과 그로 인해 위협받는 웹 생태계다. 최근에 구글 검색을 해보면 검색 링크 상단에 AI가 자동으로 정리해 주는 문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오픈 AI 역시 chatGPT에 웹 검색 기능을 추가하기 시작했다...

MIT 테크놀로지 리뷰 코리아 Vol 14(2024년 5/6월호) - 디엠케이글로벌

사실 이번 달은 살 생각이 없었는데, ASML 기사가 있어서 홀린 듯 구매를 했다. 하지만 ASML은 두 장 정도의 분량 밖에 되질 않았다(아참 ASML은 반도체 산업의 핵심 장비인 EUV 노광장치를 만든다). 그래도 세계 최고라고 불리는 기업의 이야기는 늘 궁금하다(문어발 식 대기업 말고 기술로 제패한 기술 기업).  그런 면에서 표지에 ASML을 넣은 것은 주요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번 달의 대부분의 지면은 AI와 로봇 그리고 AI를 탑재한 로봇에 대한 얘기로 채워져 있다.  로봇은 이미 가장 유망되는 기술 중에 하나다. 아톰 같은 로봇이 아니라도 산업용 로봇은 이미 오랜 시간 공장을 점령하고 있었고 이제는 세상으로 나오고 있다.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을 위한 입는 로봇이라든지 반려견을 대신하게..

(서평) 세계를 바꿀 테크놀로지 2024 (닛케이BP) - 시크릿하우스

닛케이에서 발간하는 잡지를 매달 받아보곤 했는데 어느 해부터인가 더 이상 발간하지 않았다. 그것이 일본 본사의 정책인지 한국 배급소의 문제였는지는 모르겠지만 꽤 알찬 내용이 담겨 있었기에 아쉬움이 있었다. 닛케이에서 매년 기술에 대한 전망을 하는 책을 발간한다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약간 일본 답다고 해야 할까. 일반인에게는 체감하기 힘든 그저 있어 보이는 기술에 대해 전망하는 다른 책들과 달리 닛케이에서 다루는 기술들은 바로 접근 가능한 것들이었다. 그래서 현업 종사자에게는 더 와닿는 것 같다. 닛케이에서 주목하는 2024년 기술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는 시크릿하우스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그럼 업계에서 가장 주목하는 기술은 무엇일까? 1위는 완전 자율주행이다. 2위는 산업 메타버..

GPT-4 출시의 의미

세상에 ChatGPT에 열광하는 동안 GPT-4가 출시되었다. ChatGPT가 출시 될 때부터 GPT-4가 개발 중이라는 소문은 지속적으로 있었다. 그리고 마침 14일 공개되었다. 하지만 OpenAI는 GPT-4에 대해 자료를 내어놓지 않았다. GPT-4는 ChatGPT보다 훨씬 더 큰 언어모델이지만 정확한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다. 이것은 OpenAI가 완전 영리 기업으로 들어선다는 선언과 같다. 대규모 머신을 유지하기 위한 비용이 만만치 않다는 것은 종종 언급 되었기 때문이다. GPT-4가 발표되자 마이크로소프트는 Bing에 적용된 것이 GPT-4라고 공개했다. GPT-4는 ChatGPT 유료 가업자만 사용이 가능하며 현재는 텍스트 기능만 사용이 가능한 것 같다. GPT-4는 이미지와 텍스트에 모두 반..

ChatGPT와 사람의 일

OpenAI가 공개한 GPT3.5의 새로운 인공지능 Chat Bot 기능인 ChatGPT가 연일 이슈다. 폭발적인 관심은 OpenAI의 엔지니어들도 놀랄 정도라니 기대 이상의 반응인 것은 맞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100억 달러를 투자하여 ChatGPT를 Office와 Bing에 탑재하기로 했다. 검색엔진과 AI의 선두주자였던 구글은 위기의식을 느끼는 듯하다. 그리고 사람들의 반응은 알파고가 이세돌을 이겼던 그때를 생각나게 한다. 이 AI는 자연스러운 대화를 할 뿐 아니라 전후 맥락을 파악한다. 시를 쓰기도 하고 글을 적기도 한다. 심지어 코딩까지 한다. 사람들은 이 놀라운 AI에 대해 '특이점'까지 언급해 가며 띄우려고 노력하고 있다. 사람들은 갑작스러운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이 기술에 대해 놀라움과..

생각의 창의성 1: 트리즈(Triz)

어느 날 박사 과정에 있던 형이 자신의 랩실로 우리를 불렀다. 그리고 '트리즈 알아?'라고 질문을 던진다. 먼가 멋있어 보이는 단어는 귀를 솔깃하게 했다. 문제를 해결하는 창의적 해결 방법론이라고 했다. 구 소련의 알츠슐러는 어릴 때부터 비상한 머리로 여러 문제를 해결했다. 그는 러시아 특허들을 분석하여 질적 구분을 해봤다. 1단계의 간단한 발명과 5단계의 오랜 세월 완전히 새로운 발명(발견 수준의)을 제외하면 어느 정도 법칙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는 이 연구를 발표했지만 오히려 국가기밀 누출 죄를 뒤집어썼다. 소련이 붕괴하고 많은 학자들이 미국으로 떠났다. 트리즈 또한 서방 세계에 알려졌다. 트리즈와 식스시그마의 조합은 최강의 문제 해결 방법으로 소개되기도 했다. 지금은 빅데이터와 AI로 문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