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그림 4

완벽하게 사랑하는 너에게: 뻔하지만 이 말밖엔 (그림에다) - 위즈덤하우스

육아에 바쁘고 치일 때는 느끼지 못하다가 아이가 부쩍 크고 나면 생각나는 것들이 있다. 아이도 세상이 처음이고 엄마 아빠도 처음인 아이. 둘째라고 또 그렇게 같지도 않다. 아는 게 많아졌지만 역시 또 처음 만나는 아이. 정신없이 키우다 보면 아이는 훌쩍 자라 있다.  아이가 예쁘다는 얘기도 세 살까지 효도를 다한다는 얘기도 힘들어도 그때가 좋다는 얘기도 당시에는 머리로는 이해가 되어도 느끼기엔 쉽지 않다. 어쩌면 서로 힘든 얘기를 나누며 힘을 받는 시간이 좋다. 때로는 그 어려움을 해악으로 승화시킬 수도 있다.  이 책은 육아가 끝난 저녁이나 (육아에 끝이 어딨냐) 아이가 꽤 자란 뒤 읽어보면 조용히 예전을 회상하며 웃음 지을 수 있다. 아쉬움도 많이 남지만 행복했던 경험도 그대로 느껴지기 때문에 좋은 ..

마녀 (알릭스 파레) - 미술문화

마녀가 처음으로 등장하는 것은 호메로스의 에 등장하는 키르케다. 그 뒤로 마녀는 유렵을 중심으로 끊임없이 만들어졌으며 16-17세기에는 그 절정을 이뤘다. 마녀의 분포도를 보면 유럽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외로 미국과 러시아 정도다. 아무래도 토속 신앙이 없이 가톨릭으로 통일된 그들에게 샤먼은 하나의 악으로 판단되지 않았을까 하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이다. 남성 중심적 사회를 만들었던 가톨릭은 이 사회구조에 대항하는 여성들을 마녀로 만들지 않았을까? 그 당시 여성은 남성에 비해 미천한 존재로 대우받고 있었기 때문이다. 모든 여성은 잠정적 마녀였고 아무런 증거 없이 마녀가 되고 또 처형되었다. 이런 은 한 동안 계속되었다. 그럼에도 마녀에 매력을 느끼는 예술가들은 많았다. 광기를 가진 마녀는 초자연적 존재였다...

(서평) 여기에서 잠시 쉬어가기 (안소현) - 안온북스

그림을 잘 그리지 못하지만 잘 그려진 그림을 보는 것은 정말 좋다. 그리고 그림을 그리는 방법을 잘 몰랐을 때에는 그림이 주는 이미지만 봤지만 Youtube 등에서 그림을 그리는 과정을 찍은 동영상을 보면서 얼마나 많은 덧칠이 이뤄지는지 알았다. 그 일련의 순서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마냥 신기하기만 했다. 아주 따뜻하고 온화한 그림과 함께 적힌 저자의 솔직 담백한 글은 안온북스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오늘 낮에 학문과 직업의 확장에 대해서 글로 짧은 대화를 나눴었다. 미술을 순수 미술의 테두리에 가두기 때문에 도전하는 사람도 어렵고 도전하는 사람도 적어지는 게 아닐까? 디자인이라는 것은 결국 미술 위에서 펼쳐진 많은 가능성이기도 한데, 기성세대들은 그것으로 우월감을 가지고 있는 건 아닌가 싶었..

(서평) 진짜 하루만에 끝내는 이모티콘 (정오목) - 티더블유아이지

이런저런 서평을 많이 올리지만 IT 쪽 서평을 받아보게 될지는 몰랐는데, 티더블유아이지 출판사의 지원으로 이 책을 만나게 되었다. 사진이 취미였던 나는 그림도 잘그리고 싶었는데, 특히 N잡이 가능할 것 같은 이모티에 도전해 보는 것도 상상했었다. 그런데 잠깐 미뤄뒀던 생각이 서평 요청과 함께 되살아 났다. 작가는 카카오톡에서 제법 인지도가 있는 분인 듯하다. 작가가 만든 이모티콘을 내가 쓰고 있기 때문이다. 베테랑답게 책도 군더더기 없이 이모티콘 제작의 전 과정을 설명해 준다. 사실 이 과정은 웹에서 뒤져가며 혼자서 부딪혀 봐야 하는 부분이지만 책에서 너무나 잘 설명이 되어 있어서 금방 따라 할 수 있을 것 같다. 케릭터를 만드는 간단한 과정과 구성에 대한 설명,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아이패드로 작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