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현대문학 5

사물의 뒷모습 (안규철) - 현대문학

제목이 너무 좋아 무의식적으로 장바구니에 담고, 그렇게 구매를 해버린 기억이 남은 책이다. 책장 속에 한동안을 보내다가 눈에 띄어 꺼내어 읽어본다. 사물의 뒷모습이라니 참 멋진 말과 시선인 것 같다. 동전에도 양면이 있듯 우리가 보는 모든 것들에는 우리가 보지 못하는 면이 분명 있을 것이다. 스웨덴의 시인 토마스 트란스트뢰메르의 '작은 잎'이라는 시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우리는 모든 것을 보며 아무것도 보지 않는다.' 자신에게 세상은 자신의 인지 속에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하지만 내가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에 대해서 끊임없이 고민하는 것은 어쩌면 내 눈에 닿은 그것에 대한 예의가 아닐까 싶다. 12개의 얼굴을 가진 어느 관음보살상처럼 여러 면으로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은 없지만 그래서 고민하고 사색하는 행..

못 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 (박완서) - 현대문학

'냉정과 열정 사이'가 두 세트가 되는 바람에 한 세트를 나눔 하려고 올렸더니 나에게 몇 권의 책을 선물로 도로 나눔 해 주었다. 박완서 작가는 귀에 익을 만큼 많이 들었지만 작품은 처음으로 접했다. 이 산문집 '못 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는 2010년 출판작이라 오래전 추억이 생각나기도 하다. 책은 모두 3부로 이뤄져 있고 1부는 에세이, 2부는 도서 서평, 3부는 지난 인연에 대한 회상으로 이뤄져 있다. 여러 얘기가 있었지만 개인적으로는 1부가 좋았다. 6.25를 몸으로 겪은 작가는 그때의 경험을 자주 얘기한다고 했고 그것이 자신의 작품에 큰 원동력이 되기도 했다고 한다. 원래는 작가가 될 생각이 없었지만 전쟁은 다른 인생을 강요했다. 자신이 원래 가보려 했던 길을 가지 못한 아쉬움은 지금의 성공이 ..

현대문학 핀리뷰 대회 입상~

김초엽 작가의 '므레모사' 핀 리뷰 대회에 참석한 뒤 까맣게 잊고 있었는데, 갑작스러운 메일에 깜짝 놀랐다. 입상이라니.. 그것도 최우수상.. 내 글이 누군가에게 통했다는 사실이 너무 기뻤다. 초엽 작가님을 알고 나서부터 꾸준히 초엽 작가님의 글을 읽었고, 초엽 편향이라는 말도 만들어내며 극히 호의적인 리뷰를 쏟아내기도 했지만, 대회 출품이라 나름 진지하게 작성했던 것이 좋았던 것 같다. 평소의 리뷰는 스포일러를 최대한 배제하려고 해서 느낌만 살리려고 하는데, 대회 리뷰라 내용과 함께 여러 얘기를 해야 했다. 아무래도 '사이보그가 되다'를 읽었던 것이 초엽 작가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던 것 같다. 사악한 세금이 떨어져 나갔지만, 3월 도서 구매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 기분이 좋다. 므레모사 (김초..

므레모사 (김초엽) - 현대문학

비극의 땅 이르슐의 한 도시 므레모사. 그곳에 닿은 비극을 체험하기 위해 떠나는 첫 번째 다크투어. 여행에 참여한 다섯 명의 방문객들의 소란스러움과 함께 이 작품은 시작된다. 오랜 시간 구조의 손길도 거부한 채 스스로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므레모사의 모습은 많은 사람들에게 호기심을 가져다주었고 방문객들은 자신들도 모른 채 므레모사의 함정에 빠져들게 된다. 므레모사는 김초엽 작가의 스타일이 여지없이 드러나는 작품이다. 그동안의 작품이 디스토피아의 세계관에서 희망을 직접적으로 얘기하는 아름다운 작품이었다면 이 므레모사는 김초엽 마니아를 위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김초엽 작가의 작품이 점점 더 어두워지고 있고 이번 작품은 호러에 가까운 설정을 가지고 있지만 그 속에서 던지는 진한 메시지를 찾아내는 것이 또..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히가시노 게이고) - 현대문학

언제부터인가 소설을 읽는 것은 시간 낭비 같다는 생각이 머릿속을 차지하고 있었다. 소설은 단지 머리가 너무 딱딱해졌을 때, 너무 무거워진 마음의 환기가 필요할 때 한 권씩 읽곤 했었다. 소설은 내심 감동을 받고 싶어서 읽기 시작하기 때문에 감동을 위한 마음의 준비도 필요하다. 한 동안 베스트셀러에서 내려가지 않는 소설이라서 신기하기도 했고, 게다가 게이고의 소설이기도 했다. 게이고는 사건과 사건이 꼬리를 물고 나가면서 얽혔던 사실들이 풀려나가는 것이 일품인 소설을 쓰는 미스터리 추리 소설의 대가가 아닌가.. 사실 감동이 받고 싶은 나는 추리 소설을 읽고 싶지는 않았다. 대부분의 경우, 상담자는 이미 답을 알아. 다만 상담을 통해 그 답이 옳다는 것을 확인하고 싶은 거야. 게이고의 소설은 집에도 몇 권 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