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초엽이라는 장르는 이제 확실한 장르가 된 것 같다. 지금 문제라고 인지할 수 있을 법한 것들을 테마로 잡아서 디스토피아적 세계관으로 풀어가지만 그 안에서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 작가의 스타일은 지난 몇 권에서 느낄 수 있었다. 김초엽 작가의 7개의 단편으로 구성된 이번 작품 또한 그런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전 소설집 이 조금 낭만적인 이야기였다면 이 책은 그것보다는 조금 더 현실적이다. 김초엽 작가의 한 편에 하나의 메시지를 담으려고 애쓴 모습이 잘 드러나고 있다. 제목에 나타난 는 인지 공간이라는 단편에 스치듯 지나간다. 많은 단편 중에서 인지 공간에서 제목을 발췌한 이유는 무엇일까? 다른 6개의 작품은 다름을 가지고 시작해서 이해로 종결된다면 인지 공간만은 획일성에서 시작해서 개성 혹은 존재의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