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케이시 3

(서평) 우린 평생 전학생으로 사는 운명이니까 (케이시) -플랜비

스토리가 있는 에세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생각에 글을 더하는 그런 글들이 남겨져 있다. 첫 페이지를 넘기자마다 방이 열 개 달린 집을 가지고 있다고 하길래 내심 부러웠다. 부자라서 취미로 글을 쓰나라는 잠깐의 오해를 뒤로하고 그건 마음의 방이라는 것을 이내 알아챈다. 끊임없이 찾아오는 불청객 불안은 문전박대할수록 문을 더 심하게 두드린다. 그저 방한칸 내어주면 조용하다. 그렇다고 나머지 아홉 개의 방이 불안해지는 건 아니니까. 책은 그런 저자의 생각을 담아내는 곳이고 이 책은 에세이다. 작가사 살며 보며 느끼며 때로는 비틀어 생각하는 이 글은 케이시 작가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마냥 작가로고만 생각했던 저자는 어떻게 보면 사업을 하던 사람이었다. 두 번의 스타트업을 실패하고도 자신에게 투자했다고 말할..

(서평) 대지와의 키스 (케이시) - 플랜비

캐릭터의 설정 때문인지 아니면 작가의 의도인지 알 수 없는 중2병과 같은 주인공의 행동과 문장들, 그리고 필요 이상으로 나열되는 글들에서 느껴지는 불협화음이 읽기 어려운 장르가 아님에도 읽기 어려운 상황을 종종 만들어내곤 했다. 약간은 공감할 수 없는 남성상에서 지속적인 의문이 들었던 것이 사실이다. 처음엔 그저 괴짜의 모습을 표현하려고 했나 싶었다. 그렇게만 판단하자니 작품에 대한 실망이 들었다. 분명 반전은 있을 거라며 계속해서 읽어 나갔다. 어느 남성의 고독과 철학을 얘기하려다 불현듯 미스터리로 전환하는 이 작품은 케이시 작가님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라는 작품으로 처음 만난 저자는 예쁘고 귀여운 이야기를 잘 써내는 작가로 기억에 남아 있다. 이 작품에서도 작가는 애정에 관한 부분이라든지 여..

(서평) 0125 (케이시) - 케이시

'0, 1, 2, 5' 이것은 돈을 다루는 숫자들의 모음이다. 하지만 이것은 달러이기 때문에 그렇게 지어진 것 같다. 암호 같은 제목에 갸웃했지만 지폐 한편에 쓰인 코드 번호 같기도 했고 그래서 어떤 이야기가 전개될지 궁금해지기도 했다. 조금은 토이스토리가 생각나고 조금 이름이 기억나질 않는 일본 애니메이션을 닮았다. 지폐와 동전 친구들이 영혼을 받고 지갑을 타고 이동하며 겪는 이야기다. 돌고 돌아 결국 다시 처음으로 돌아오긴 하지만 많은 일들은 가지런히 정리되고 모두가 행복해지는 전형적인 만화의 마무리를 하고 있다. 사람들의 사정을 살피고 또 그 속에서 여러 이야기 여러 깨달음을 얘기하는 만화 같은 이야기는 케이시 출판사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할머니와 손녀의 이야기로 시작하는 이 책의 주인공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