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의 2

사회학의 기초개념 (막스 베버) - 문예출판사

막스 베버가 죽은 뒤 아내 마리안네 베버가 그의 유작을 모아 출판한 에서 1부의 첫 장이 바로 이다. 이 글은 뭔가 새로운 내용을 다루는 것일 아니라 사람들이 자신의 논문의 글이 매끄럽지 못해 잘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아채고 글을 단순화하고 때론 확대하며 정리한 것이 바로 이 책이다. 막스 베버가 다룰 작업에 대해 정확성을 추구하기 위해 이 글은 필요했던 것이다. 사회학이라는 것 은 굉장히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물론 나도 잘 모르기 때문에 이 책을 구매한 것이기도 하다. 우리는 어렴풋이 알고 있지만 설명할 수 없는 것들이 많이 있다. 사실 설명할 수 없다면 제대로 알 수 있다고 하지만 우리는 알지 못하는 사이에서도 사회 속에서 잘 살아가고 있다. 이 책은 사회적 행위를 해석하고 이해하면서 그 ..

시민의 불복종 (헨리 데이빗 소로우) - 은행나무

톨스토이에 의해서 발견되어 간디와 마틴 루터 킹 등 많은 사회운동가, 사상가들에게 영감을 준 이 책의 제목은 강렬하다. 그렇다고 무정부주의를 얘기하는 책은 아니었다. 법치국가에서도 법률 앞에는 정의가 있어야 하고 국민 이전에 인간이어야 한다는 소로우의 주장은 아프다. 책에는 25년간 일기를 적었다는 소로우의 5편의 탁월한 에세이와 시대를 움직였던 '시민의 불복종'이 담겨 있다. 정부는 작을수록 좋지만 그것은 사람들이 준비되었을 때의 일이다. 수많은 사람들은 인간으로서가 아니라 기계로서, 자신의 육신을 바쳐 국가를 섬기고 있다고 말하는 그는 혁명의 권리를 얘기한다. 정부의 폭정이나 무능이 너무나 커서 참을 수 없을 때는 정부에 대한 충성을 거부하고 정부에 저항하는 권리를 행사해야 한다고 한다. 그가 말하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