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전자 2

밈 (수전 블랙모어) - 바다출판사

'밈'이 가장 성공한 밈이다. 리처드 도킨스가 '밈'이라는 정의를 가지고 나온 뒤 밈이 이렇게 널리 퍼지게 될 거라곤 생각이나 했을까? 유튜브나 틱톡 상에는 '밈'이라는 이름을 달고 여러 챌린지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생물학적 유전을 벗어난 문화적 유전 '밈'은 이제 우리에게 너무 익숙한 것이 되어 버렸다. 이렇게 유쾌한 '밈'이지만 어떻게 보면 리처드 도킨스가 를 쓰면서 남겨 두었던 하나의 탈출구였던 '밈'이었다. 유전자 단위에서 모든 것이 결정되고 개체는 하나의 운반자로서 복제자의 충실한 종일뿐이라는 숙면론을 벗어나기 위함이기도 했다. 인간은 유전자에 유리하지 않는 일을 스스럼없이 한다. 이것은 유전자들의 각축장인 개체는 그 자체로 또 하나의 판단을 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 책은 과감하게도 '밈'..

(서평) 협력의 유전자 (니컬라 라이하니) - 한빛비즈

리처드 도킨스의 가 발간한 이후 많은 오해가 있었던 것 같다. 유전자는 사실 이기적이기도 이타적이기도 않기 때문이다. 그가 그런 제목을 붙여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지만 사실 유전자는 죄가 없다. 최근에는 를 다루는 책들이 많이 출간된다. 생물들이 살아남기 위해서 서로가 서로에게 의지한다는 것이었다. 이것은 그것과는 조금 다르다. 같은 개체에서 협력은 어떻게 이뤄지는지에 얘기한다. 굉장히 감격스러운 장면을 만날 것 같지만 이 책 역시 유전자에게는 정이 없다. 경쟁과 협력 사이, 마치 얇은 종이 한 장 차이 같은 성질은 유전자의 또 다른 모습을 설명하기 좋다. 생물은 이기적인 행동을 하면서도 도무지 설명할 수 없는 헌신을 보이는가를 설명하는 이 책은 한빛비즈 출판사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의 감격스럽..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