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계급론은 항상 읽어야지 읽어야지 하면서도 계속 읽지 못하는 도서였는데 이번 주말에 알릴레오 북스 37, 38회를 보면서 베블린 교수의 심하게 뒤틀린 사회의 단면을 볼 수 있었다. 사실 유한계급론은 한계가 있는 계급 정도로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유한계급론은 있을 '유' 한가할 '한'로 한가로움이 있는 계급이 있는 사람들의 얘기였다. 여기서 한가로움이란 여유가 있는 것이 아니라 철저하게 생산적인 일을 하지 않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원 제목은 '레저 클래스(Leisure Class)' 다. 유한계급은 미개한 사회에서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인간이 사유재산이 생기면서부터 생겨나기 시작했다. 야만적 사회를 이끈 사람들이기도 하다. 이들은 생산적인 활동을 하지 않고 약탈을 일삼았다. 야만적 사회를 이끌었던 왕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