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몰입 3

두려움 없는 조직 (에이미 에드먼슨) - 다산북스

회의 시간 리더는 윽박지르면 자신의 말에 권위가 있다고 생각한다. 직원들은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자신의 지시에 따를 것이라는 것이 자신의 생각이다. 하지만 그것은 혼자만의 착각이다. 묻지 않으면 대답하지 않는 문화. 더 나아가 물어도 제대로 대답하지 않는 문화만 정착된다. 어떤 대답을 해도 욕을 먹을 거면 빨리 끝내는 편이 낫다고 생각하게 된다.  레이 달리오는 '원칙'에서 이런 말을 했다. 세상의 모든 일은 혼자 할 수도 없고 혼자 해서도 안된다고. 지식 사회에서 리더가 모든 지식을 알 수 없다. 그리고 전문적으로 일을 하는 사람들에 비해 나을 수 없는 것도 사실이다.  철강왕 엔드루 카네기는 자신의 묘비명에 '자기보다 우수한 사람을 자기 곁에 모을 줄 알았던 사람 여기 잠들다'라고 적었다. 그렇다. ..

몰입의 경영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 민음인

회사를 다니다 보면 '주체적으로 일하게 하라'라든지 '사장 마인드로 일하라'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된다. 하지만 막상 회사를 다니다 보면 그게 말이 안 된다는 걸 잘 안다. 사장이 아닌데 어떻게 사장의 마인드로 일할 수 있을까. 어느 해 만난 컨설턴트는 그 문제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사장과 직원의 마인드의 갭을 최대한 줄이는 노력일 뿐입니다"  그분도 알고 있었다. 완벽하게 동일하게 하는 건 불가능하다는 것을. 구본형은 에서 회사와 자신은 일종의 계약 관계에 불과하지만 나는 나라는 기업의 사장이기 때문에 고객에게 최선의 제품을 내보이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그래야 나라는 기업의 가치가 오른다는 것이다. 계약이 불합리하다고 생각되면 새로운 계약을 맺어야 한다고 했다.  몰입(flow)의 창시자 칙센트..

(조직에서) 몰입과 헌신

- 몰입 "조직을 사랑하고 자신의 일을 열심히 하는 것 " Allen & Meyer : 구성원은 어떻게 조직에 충성심을 느끼는가? 정서적 요소 : 조직을 좋아하는 것. 계속적 요소 : 조직을 떠나는 것이 손해라고 느끼는 것. 규범적 요소 : 의무감. Morrow 의 몰입의 유형 직업 몰입 : 직업에 대한 애착. 조직 몰입 : 회사에 대한 충성심 직무 관여 : 직무에 대한 충성심 - 헌신 조직 시민 행동 이며, 친사회적 행동이다. 개인의 의무 이상의 것을 하는 것이다. 이타주의, 성실성, 예의, 스포츠맨쉽, 시민덕목 이제 어떻게 접근할 수 있을지? 정의와 실행은 하늘과 땅만큼이나 갭이 있지만, 정의할 수 있기 때문에 땅위에 서 있을 수 있다. 자, 고민 시작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