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디플로마티크 3

(서평)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2023년 11월호)

르몽드 11월호는 파시즘이 고개를 드는 세계 정치와 하마스-이스라엘 전쟁 및 세계정세를 살펴볼 수 있었다. 많은 국가들이 국가 권력을 강화하고 있지만 언론은 이에 반응하지 않는다. 지식인들의 목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동조의 목소리만 큰 것은 그들이 기득권이기 때문일까, 대상을 바라보는 다양성이 사라졌음일까, 권력에 굴복했음일까 그것도 아니라면 무관심일까. 극우는 권력을 이용해 어느새 자신들이 정상이라고 말하며 정상인들을 극좌로 몰아가고 있다. 이런 일련의 현상들이 다른 나라의 이야기가 아닌 것 같아 씁쓸하다. 훼손된 다양성과 미국 권력의 약화와 신흥국의 약진 그리고 한국의 위태로움에 대해 설명하는 르몽드 11월호는 르몽드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르몽드는 세계를 주시하긴 하지만 많은 프랑스에 관련한..

(서평) 르몽드 디플로마티크(Le Monde Diplomatique)(한국어판)(2023년 9월호) - 르몽드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9월호는 일본의 일본해 주장과 윤석열 정부의 사대주의 대한 비판이 있어 관심이 갔다. 이념이 사라진 지금의 시대에 연일 이념을 강조하는 정부를 보면서 우리나라의 실익은 무엇인가라는 생각을 계속해보게 된다. 하지만 9월호는 조금 더 넓은 범위를 취하고 있다. 여러 국가의 실용주의 노선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가져온 부작용과 선진국이라고 불리는 나라들의 스텐스도 알 수 있었다. 역동하는 국제 사회의 무게 중심의 이동과 이에 적응하지 못하는 듯한 국내 정치권의 상황을 판단해 볼 수 있는 이 책은 르몽드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이 시작되면서 두 나라는 자신의 진영을 갖추고자 노력했다. 하지만 미소 때처럼 이념이 명확하게 분류되지 않고 이념보다는 실리가 중요시..

(서평) 르몽드 디플로마티크(2023년 8월호) - 르몽드

르몽드 8월호는 표지로 장식하고 있는 FC 바르셀로나의 역사와 그들의 정신을 훼손시키는 자본주의에 대해 얘기하고 나머지 두 개의 큰 이슈로는 국제 사회의 현실주의 이론과 보수화 되어가는 국제 정세를 이야기해 본다. 마지막으로 국내 이슈로 학생과 교사의 인권에 대한 기사로 마무리한다. 세계적인 이슈를 다룬 이 책은 르몽드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우선 가장 흥미로울 FC 바르셀로나에 대해 알아보자. 바르셀로나는 축구팬이 아니라로 알만큼 대단한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한때 간판이었던 리오넬 메시를 차치하고서라도 바르셀로나는 유럽 챔피언스 리그에서 우승컵을 여러 번 들어 올린 경험이 있는 축구의 명가이기도 하다. 다른 한편으로 바르셀로나는 스페인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며 카탈루냐 지방의 중심 도시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