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에게 시인은 와 로 충분했다. 만해 선생은 교과서에서 만나 가끔 생각날 때 읽어 본다. 그리고 청춘에 가장 적합했던 시인 . 나에게 시인은 그렇게 자주 만남을 갖는 사람들은 아니었다. 시는 굉장히 어렵다. 단편선보다 더 어렵다. 그래서 내 상황에 시에 그대로 투영될 정도의 경험이 없다면 공감하기도 쉽지 않다. 그래서 시는 청춘의 시간이 필요하다. 어떻게 보면 시인은 평생을 청춘으로 사는 사람인지도. 우리나라 출판계의 미스터리가 바로 시집이 팔리는 것과 더불어 수학책이 팔린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면 우리나라 독자의 수준이 참 높구나 싶은 생각도 든다. 시를 즐긴다는 건 꽤나 고차원적인 일이라고 나는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나는 쉽고 자세하게 풀어주는 두꺼운 책이 가장 좋기 때문이다. 그래도 이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