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학자 2

클린턴 리처드 도킨스 (Clinton Richard Dawkins)

1941년 3월 26일 출생으로 올해 나이 82세(2013년)로 몸으로 체감하던 것보다 나이가 많다. 워낙 많이 회자되기 때문에 왕성한 활동을 하는 인물이라고 피부는 느끼고 있었던 것 같다. 하긴 가 나온 지도 40년이 넘었다. 영국령이었던 케냐에서 태어났으며 대표적인 신다윈주의자다. 말하자면 현대판 토머스 헉슬리다. 철저한 무신론자이면서 회의론자다. 2013년 영국 월간지 '프로스펙스트'가 공개한 올해의 사상가 1위에 선정되었고 '이성과 과학을 위한 리처드 도킨스 재단'을 이끌고 있다. 거의 저서 가 워낙 널리 알려져 있기에 그를 과학자가 아닌 과학저술가로 알고 있는 이들도 많다. 실제로 에는 자신의 연구보다 해밀턴이나 윌리엄스의 연구 결과를 언급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지만 실제로 읽어보면 그들의 ..

정보수집/인물 2023.07.27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심채경) - 문학동네

정말 오랜만에 보는 과학자의 에세이다. 우리나라는 문과/이과를 잘라놓고 서로의 것을 배우면 안 되는 것처럼 가르치고 있다. 세상을 살아가려면 문과생에게도 이과적인 교양 지식이 필요하고 이과생에게도 읽기와 쓰기의 기술은 필요하다. 최재천 박사께서 말씀하시기를 과학자들이 생각하는 위대한 과학자와 대중이 생각하는 위대한 과학자가 다르다고 했다. 가장 위대한 생물학자를 묻는다면 우리들은 단연 리처드 도킨슨을 얘기할 것이고 가장 위대한 천문학자를 묻는다면 칼 세이건을 얘기할 것이다. 그들의 공통점은 책을 썼다는 것이다. 과학자가 글을 쓴다는 것은 중요하다. 엄청 어려운 학문을 연구하여 인류에 이바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어려운 내용을 대중들에게 알기 쉽게 풀어내 주는 것도 중요하다. 대중의 이해와 공감은 과학의 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