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영철학 2

(서평) 더 해머 (데이브 질크, 브래드 펠드) - 서사원

니체는 꽤나 유명하고 꽤나 고약하다. 사람들이 그에게 열광하는 이유를 아직은 모른다. 아직 니체를 만나기 전이기 때문이다. 어쩌면 이 책이 니체와 처음 조우하는 시간인지도 모를 기대감도 있었다. 그는 과감한 독창성과 자기 창조를 주장하며 모든 것을 파괴하고 재창조하길 원했던 것 같다. 그를 망치를 든 철학자라고 얘기하는 이유기도 하다. 니체와의 만남을 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도 잠시 펼쳐지는 많은 페이지는 경영에 관한 이야기였다. 마치 손자병법을 이용한 경영 철학서처럼 말이다. 니체의 파괴적 재창조를 바탕에 두고 혁신적인 기업을 경영하고 있는 많은 스타트업들에게 자신을 철학을 얘기하는 이 책은 서사원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기존의 경영혁신 방법은 대부분 지금의 것을 유지하며 끊임없이 개선하는 것이..

취향을 설계하는 곳, 츠타야 (마스다 무네아키) - 위즈덤하우스

일본에서 본 츠타야라는 곳은 문화 복합 공간이면서도 대여점인 인상이 강했다. 인테리어가 인상적이었던 것 말고는 큰 느낌은 없었다. 하지만 지적 자본론을 읽고 나서 츠타야의 CEO인 '마스다 무네아키'라는 사람의 경영철학이 궁금했다. 내가 알고 있던 일본의 기업들과는 기업 가치가 조금 다른 방향에 있었기 때문이다. "팔리는 기획을 한다는 것" , "고객의 기분으로 생각한다는 것"이라는 것이 어떤 것인지는 책을 받자마자 느낄 수 있었다. 이 책은 다른 책과 다르다. 180도 완벽하게 열린다. 첫 장부터 마지막 장까지 아무것의 도움이 없이도 편안하게 놓고 읽을 수 있다. 책을 읽는 독자의 기분을 생각하며 만든 책의 기획이다. 이 책은 마스다 무네아키의 일기 형식을 빌렸기 때문에 요약하고 할 것은 많이 없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