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래쇼크란?
- 인간의 <적응 한계>를 넘어선 자극에 대한 반응.
사회의 초가속화는 더 많은 선택과 자극을 준다. 동시에 더 빠른 의사 결정을 강요한다. 신체는 이 스트레스에 적응해야 한다. 때론 파괴되기도 한다. 변화는 신체에 무리를 주기 때문이다. 인간의 감정은 임계치가 있고 이것을 최대한 아껴야 새로운 자극을 받을 때 쇼크를 받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의적인 사람은 생각 외로 보수적인 부분들이 있다. 그것은 가족일 수도 있고 오래된 자동차일 수도 있다. 지겨워 보이는 반복되던 일상일 수도 있다.
이성적 행동은 일상화(routinization)와 창조성의 복잡한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 그로스 (조직이론가)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는 자극은 ‘적응을 위한 노력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 번아웃이라고 해도 될 듯하다. 토플러가 걱정하는 것에 비해 인간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도 잘 살아내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그 적응 속에 인간은 감정을 잃어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반응형
'정보수집 > 산업 | 기술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L(Hardware Abstraction Layer)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 (0) | 2023.12.19 |
---|---|
우리나라 공매도와 공매도 금지 (0) | 2023.11.09 |
[IDG] 2022년 IT 전망보고서 (0) | 2022.06.07 |
폐베터리 재활용 방안의 종류와 정의 (0) | 2022.02.22 |
동형 암호(同形暗號,Homomorphic Encryption, HE) (0) | 2022.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