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은 지도의 획득으로 점차 세력을 확장해 나갔고 그 속에서 또한 많은 부가 획득되기도 했지만 약탈과 같은 부조리도 많았다. 지리학은 개개인의 삶 속에서도 중요했지만 국가적으로도 중요한 학문이었다. 기술이 발달하고 세계가 이어져 있다시피 한 지금의 시대. 지리학은 지도를 보고 나라와 도시를 외우는 단편적인 학문으로 치부되기 십상이다. 하지만 여전히 고립되어 있는 사람들이 전체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더 거시적인 안목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눈을 기르기 위해서는 지리학이 필요하다. 현시점에서 지리는 왜 중요한지를 얘기하는 이 책은 김영사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현대에 문해력이 부족하다는 얘기는 자주 언급되곤 한다. 이 문해력은 지리학에서도 발생한다. 소위 '지리 문맹'이라고 불리는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