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들이 열심히 만든 콘텐츠를 재미나게 봐 놓고 재미없었다고 하는 사람들이나 음식을 거의 다 먹어 놓고 클레임 거는 사람들의 심리를 적어 둔 책일 줄 알았다. 나도 사실 그들의 심리가 조금 궁금했기 때문이다. 근거 없는 비난에 대한 심리가 궁금했다랄까. 하지만 이 책은 그런 책이 아니었다. 드라마, 예능, 웹툰 등을 보고 시청자나 독자의 정보 수용성과 콘텐츠가 주는 영향이 어떨지 작가가 잘 봐 놓고 딴소리하는 이 책은 북트리거의 지원으로 읽을 수 있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단순하게 미디어 독해 능력쯤으로 해석될 수 있다. 미디어를 접하고, 비평하고, 창조하고 조작하는 폭넓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책은 대중매체 평론가가 적은 미디어 리터러시 안내서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TV 보는 법, 영화 보는 법 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