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증성 장질환은 육식을 주로 먹는 서양에서 주로 발생하는 병이었지만 식단의 서구화로 인해 우리나라의 장질환 환자의 수는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왜,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그냥 추측하기로는 다음과 같다.1. 유전적 소인 : 환자의 20%가 가족력이 있지만 뚜렷한 유전적 양상을 보이는 건 아니다.2. 인체 면역시스템과 장내 미생물 환경의 항상성 붕괴3. 다양한 환경 물질 염증성 장질환은 크게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이 있다. 둘 다 일반적인 증상과 비슷한 부분이 많아서 진단에는 여러 가지 검사를 진행해야 한다. 그래서 동네 병원을 전전하다가 악화되어서 상급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크론병은 소화기관 어느 부분에서도 나타날 수 있지만 궤양성 대장염은 대부분 대장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