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자가트 5

민족 (아자 가트) - 고유서가

종족, 인족, 민족은 두루뭉술하게 같다고 얘기할 수도 있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다. 그리고 이 단어를 한글로 옮기는 것도 꽤나 고역이다. 어느 정도의 집단을 민족으로 볼 것인가는 논쟁도 많은 듯하다. 최근에 다시 주목받고 있는 민족주의를 이해하려면 그 역사를 살필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것이 근대의 산물이 아님을 주장하는 아자 가트의 얘기를 읽고 있다 보면 지금의 세상이 조금 이해되기도 한다. 종족은 친족과 문화를 공유하는 집단이다. 어떻게 보면 피를 나눈 사이라고 할 수 있다. 도킨스의 말을 빌리자면 유전자를 나눈 사이다. 타자보다 더 중요하고 살펴야 할 필요가 있다. 종족은 진화론적으로 설명될 수 있고 그들의 행동은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인족은 친족과 문화를 공유한다는 뚜렷한 의식을 가지고 있다...

전쟁과 평화 (아자 가트) - 교유서가

인간은 왜 싸울까? 그리고 폭력성이 사라지는 건 문명화의 과정인가?라는 질문은 한 번쯤은 해볼 만하다. 스티븐 핑커 교수는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들이 깨어나고 있다고 말했지만 그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다. 그렇다면 아자 가트의 이 책을 읽어볼 필요가 있다. 에서 전쟁 부분을 따로 떼어내어 더욱 자세히 서술한다. 인간에게 폭력성은 줄어들고 있지만 그 이유는 복합적이라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전쟁을 국가 단위로 정의하고 이것을 하나의 발명품처럼 취급하게 되면 우리는 근본적인 이유를 찾을 수 없게 된다. 국가라는 것도 결국 인간이 만든 것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욕구 체계를 얘기하지 않고서 전쟁을 논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다. 전쟁은 그저 규모가 커진 다툼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우리는 2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

문명과 전쟁 (아자 가트) - 교유서가

인간은 왜 싸울까? 전쟁은 왜 끊이질 않을까? 우리는 평화를 너무나 원하지만 그럼에도 끊임없이 싸운다. 총칼을 들고 싸우는 전쟁을 벗어나더라도 인간은 늘 경쟁하고 다툰다. 순위를 매기고 승자를 정한다. 생태계 많은 종들 또한 싸움이 없는 것이 아니지만 인간의 것이라 조금 더 특별해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이 전쟁의 이유를 9년 동안 파헤친 아자 가트는 여러 분야의 학문을 연구하여 전쟁의 이유를 설명한다. 이 책은 단정 짓지 않는다는 점에서 굉장히 읽기 불편하다. 저자는 마치 정답을 알려주는 듯하면서도 다른 의견을 바로 제시한다. 그러다 보니 읽는 도중에 머릿속에서 복잡해져 버린다. 정답을 원하는 독자는 혼란스러운 상황에 빠진다. 방금 뭐라고 했지? 라며 다시 앞으로 돌아가 읽는 일이 허다하다. 그렇기 때..

아자 가트 (Azar Gat)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논문을 가진 아자 가트는 생각보다 노출된 정보가 적다. 이스라엘 텔아비브 대학의 '에제르 바이츠만 국가안보 석좌교수'이며 텔아이브 국제 외교안보 프로그램을 이끌고 있다. 이스라엘 방위군 예비역 소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전쟁과 군사이론 등을 전공으로 하고 있다. 이스라엘에서 비슷한 길을 걷고 있는 유발 하라리와는 상반된 느낌이다. 그의 책이 소개되는 비중에 비해 그는 철저하게 숨겨진 느낌이다. 국가 안보를 맡고 있는 특수군이라서 그럴까? 아니면 아직 한국에 제대로 소개되지 않은 걸까? 영문 위키피디아에서 그를 찾을 수 있다. 아자 가트는 1959년 이스라엘 하이파에서 태어났다. 그는 군사 역사 및 전략에 초점을 맞춰 경력을 쌓기 시작했으며 수년에 걸쳐 그는 전쟁의 선사 시대 원인..

정보수집/인물 2023.06.13

(천쪽이상독서클럽) 5월 도서 - 문명과 전쟁

천쪽이상독서클럽 6월 선정 도서는 아자가트의 문명과 전쟁이다. 인류는 공동체를 이루면서부터 다툼을 시작하였고 그 흐름은 점점 모여 거대한 물결을 만들어 낸다. 문명은 전쟁의 분산물일 수도 있다. 과학을 가장 빠르게 발전시킨 것도 전쟁이다. 시간과의 싸움은 인간을 비윤리적으로 만들면서도 극한의 능력을 만들어내는 걸지도 모른다. 누구보다 빠른 발전을 한 문명은 다른 문명을 복속시키며 발전에 이바지하게 된다. 전쟁은 잔인한 것이지만 문명과 전쟁은 어떻게 보면 공존하며 발전한 것인지도 모를 일이다. 많은 책에서 인용되는 이 책은 저술에만 9년의 시간이 걸렸다. 문명과 전쟁의 공진화라는 거대한 주제는 또 하나의 빅히스토리다. 그렇다고 전쟁을 옹호하고 그러진 않을 거라 믿는다. 벌어진 일에 대해 객관적인 접근을 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