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각의힘 3

(서평) 살아 보니, 시간 (이권우, 이명헌, 이정모, 김상욱) - 생각의힘

과학과 인문학이 이렇게 조화롭게 섞일 수 있구나라는 생각이 먼저 든다. '시간'이라는 단어에 '살아보니'를 엮은 제목이 내용을 잘 아우르고 있다. 있지만 없는 없지만 느끼는 시간이라는 것과 그것의 의미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인간에 시간의 의미란 무엇일까라는 생각을 하게 하는 이 책은 생각의 힘 출판사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인간의 삶에서 시간은 무척이나 중요하다. 그리고 과학에서도 시간은 중요하다. 하지만 각자의 영역에서 시간을 대하는 자세는 사뭇 다르다. 인간이 사고하면서 느끼기 시작한 시간이기 때문에 그것이 동물에게도 있을지 우주에도 있을지는 알 수 없다. 물리학에서 시간은 그저 정의되는 것일 뿐이다. 본질을 얘기하는 것은 과학의 몫은 아니다. 그래서 인문학이 필요하다. 학부모에..

(서평) 비바레리뇽 고원 (매기 팩슨) - 생각의 힘

인류의 역사는 대부분 '전쟁의 역사'다. 야만의 역사는 기록하기 쉽다. 생명은 숫자로 치환되고 눈으로 보여줄 수 있는 기록 들이 많아. '선'에 대한 연구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에 대한 연구는 눈으로 표현하기 어렵다. 그리고 변함없는 선을 얘기하는 것은 더더욱 어렵다. 작가는 인간에게서 순수한 선의 덩어리를 찾고 싶었던 것 같다. 그런 연구가 필요함을 얘기하고 싶었던 것 같다. 인간의 악함은 그만 얘기해도 될 정도로 많으니까. 2차 대전, 홀로코스트와 같은 상황에서 발생한 '집단적 선행'이라는 낯선 행위로부터 선의 결정을 찾으려 했던 저자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이 책은 생각의 힘 출판사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위급한 상황에 닥치면 인간의 본색을 드러낸다라고 한다. 생존의 문제는 모든 살아있..

(서평) 커리어 그리고 가정 (클라우디아 골딘) - 생각의 힘

사회가 거듭 발전하면서 인권과 평등의 가치는 점차 소중하게 되었다. 그동안 가정에서의 일을 해오던 여성들은 사회가 변함에 따라 점차 가정 밖으로 진출하고 있다. 온건하게 얘기하면 사회 변화에 의한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급진적으로 얘기하면 여성 해방이라 말할 수 있다. 래디컬 페미니즘을 주장하는 이들은 기울어진 운동장을 규탄하며 강제로 이를 조정하려고 한다. 과연 그것으로 해결될까? 그것이 항생제와 같은 역할을 해줄 수도 있고 마중물의 역할을 해줄 수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는 보다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야 한다. 커리어와 가정의 균형 잡힌 삶을 위해 우리는 무엇에 대해 고민해야 하는지에 대해 얘기하는 이 책은 생각의 힘 출판사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진화론적으로 보면 두 가지 선택설이 있다. 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