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유 3

(서평) 살아 있는 모든 것에 안부를 묻다 (니나 버튼) - 열린책들

소로우가 생물학자였다면, 아니 시인이었다면 이렇게 글을 쓰지 않았을까? 도심에서 조금 떨어진 자연 속에서의 삶은 어떨까? 한가로울까? 하지만 적어도 소로우와 니나 버튼은 아니었던 것 같다. 자연을 이토록 세심하게 관찰하려면 도심에서 살 때 보다 더 바빴을 것 같다. 오랜 시간 비워 둔 별장에서 만난 수많은 생명체와의 만남. 텅 비어 있을 거라고 생각했던 그곳은 가득 차 있었다.  자연에서 느낀 감각을 글로 적은 이 책은 열린책들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자신을 아마추어 생물학자로 소개하는 그녀는 생명체에 대해 굉장히 해박한 지식을 보여준다. 그녀가 별장에서 만난 자연 하나하나는 그녀에게 특별한 깨달음을 전달했다. 그것은 그것에 관심을 두고 부지런히 관찰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자연을 받아들일 자세..

사물의 뒷모습 (안규철) - 현대문학

제목이 너무 좋아 무의식적으로 장바구니에 담고, 그렇게 구매를 해버린 기억이 남은 책이다. 책장 속에 한동안을 보내다가 눈에 띄어 꺼내어 읽어본다. 사물의 뒷모습이라니 참 멋진 말과 시선인 것 같다. 동전에도 양면이 있듯 우리가 보는 모든 것들에는 우리가 보지 못하는 면이 분명 있을 것이다. 스웨덴의 시인 토마스 트란스트뢰메르의 '작은 잎'이라는 시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우리는 모든 것을 보며 아무것도 보지 않는다.' 자신에게 세상은 자신의 인지 속에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하지만 내가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에 대해서 끊임없이 고민하는 것은 어쩌면 내 눈에 닿은 그것에 대한 예의가 아닐까 싶다. 12개의 얼굴을 가진 어느 관음보살상처럼 여러 면으로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은 없지만 그래서 고민하고 사색하는 행..

(서평) 점검 (정민) - 김영사

앞만 보며 뛰고 뒤쳐지면 큰일이라도 날 것처럼 부단히 그리고 허겁지겁 살아가고 있다. 무엇이 중요한지 잊은 채 살아가진 않는지 세상과 마음을 살필 시간이 필요하지 않을까? 이 책은 옛글을 뒤져 오늘의 문제에 비춰 본다. 기술의 수준은 비교할 바가 아니겠지만 사람이 살아가는 이치는 변하지 않았다. 400개의 옛글로 오늘을 성찰해 보는 시간을 가지는 이 책은 김영사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400개의 옛글은 그냥 간략하게 ㄱ, ㄴ, ㄷ, ㄹ 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이 책은 기존에 출간한 , , , 그리고 에 수록된 글 들을 가려 엮은 통합본이다. 그렇기 때문에 1000페이지에 이른다. 옛 선인들의 깨달음을 엮어 놓으니 좋은 말씀이 많다. 나라를 다스리는 것, 회사를 운영하는 것 그리고 관계를 대하는 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