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도요타 3

NEW 도요타생산방식 솔루션 (홍덕진) - 카론앤컴퍼니

벌써 몇 해나 지났지만 도요타 자동차 생산라인과 협력업체에서 일하는 방식에서 받는 충격은 제법 컸다. 1초도 허투루 쓰지 않겠다는 개선팀의 의지가 보이기도 했지만 걸음걸이 하나 움직임 하나도 정해진 듯 움직이는 로봇 같은 사람들의 움직임 때문이기도 했다. 잃어버린 20년을 견뎌 온 도요타만의 저력이 느껴지기도 했다. 그 연수를 진행해 주신 분이 이 책의 저자 홍덕진 님이다. 낮에는 공장을 견학하고 밤에는 강의실을 빌려 강의를 들었다. 20년을 넘게 TPS 연수를 진행해 온 저자의 자신감 있는 모습은 인상적이었다. 오랜 커리어로 질문에 막힘없이 대답해주시고 강행군이었던 연수에 재미도 주셨다. 당시 경험으로 조금 더 긴 연수를 받아보고 싶었지만 교육이라는 것이 회사의 방침이기도 해서 그야말로 맛만 보며 끝났..

완성차 업체의 2차전지 내재화 가능할까?

폭스바겐의 배터리 내재화로 2차 전지업체에게는 '쇼크'가 발생했다. 일부 사람들은 자동차의 엔진처럼 주요 부품인데 전략적으로도 완성차 업체가 내재화해야 하는 것이 맞지 않겠냐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 '시점'을 바꿀 볼 필요가 있다. 엔진과 기어로 이뤄진 기존 공정은 기계 산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다가올 전기차는 '소프트 산업'의 관점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항공기 산업을 통해 본 자동차 시장의 미래 항공기 산업을 통해 본 자동차 시장의 미래 www.lgeri.com 항공기와 자동차는 완전히 다른 사업으로 볼 수도 있다. 항공기는 B2B의 산업이며, 3차원 산업이다. 자동차는 B2C의 산업이며 2차원 산업이다. 이제껏 '기계 산업'이였던 자동차는 '엔진'의 성능은 절대적이었다...

(글쓰기연습) 완성차 업체의 2차전지 내재화 가능성

폭스바겐의 배터리 내재화로 2차 전지업체에게는 '쇼크'가 발생했다. 일부 사람들은 자동차의 엔진처럼 주요 부품인데 전략적으로도 완성차 업체가 내재화해야 하는 것이 맞지 않겠냐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 '시점'을 바꿀 볼 필요가 있다. 엔진과 기어로 이뤄진 기존 공정은 기계 산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다가올 전기차는 '소프트 산업'의 관점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항공기와 자동차는 완전히 다른 사업으로 볼 수도 있다. 항공기는 B2B의 산업이며, 3차원 산업이다. 자동차는 B2C의 산업이며 2차원 산업이다. 이제껏 '기계 산업'이었던 자동차는 '엔진'의 성능은 절대적이었다. 하지만 전기차로 진입하면서 전기차의 포지션은 바뀌게 될 것이다. 항공기에서는 기체의 설계 기술도 중요하겠지만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