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왕자를 생각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은 보아뱀 그림이고 가장 많이 들은 것은 여우에 대한 이야기다. 어린 왕자는 당연하다는 듯한 마음들을 차분히 곱씹으면서 소화시키려는 노력을 보여주는 책이기도 하다. 생을 살아오며 당연한 것이라며 자신을 다독이던 세월 속에 상처받은 자아를 숨기고 살고 어느새 자신이 왜 화가 나고 왜 슬픈지 알 수 없게 된다. 어린 왕자를 읽으며 내면의 아이에게 말을 걸어보고 자신을 치유하는 과정을 적어내는 정여울 작가의 에세이는 크레타 출판사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인간의 무의식 속에는 어린 시절의 아픔과 상처로 인한 자아가 있다고 생각하고 접근하는 이 심리 상담 기법은 카를 융의 원형(archetype)의 개념에서 분리돼 나왔다고 한다. 내면 아이의 개념은 심리학보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