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유서가 2

전쟁과 평화 (아자 가트) - 교유서가

인간은 왜 싸울까? 그리고 폭력성이 사라지는 건 문명화의 과정인가?라는 질문은 한 번쯤은 해볼 만하다. 스티븐 핑커 교수는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들이 깨어나고 있다고 말했지만 그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다. 그렇다면 아자 가트의 이 책을 읽어볼 필요가 있다. 에서 전쟁 부분을 따로 떼어내어 더욱 자세히 서술한다. 인간에게 폭력성은 줄어들고 있지만 그 이유는 복합적이라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전쟁을 국가 단위로 정의하고 이것을 하나의 발명품처럼 취급하게 되면 우리는 근본적인 이유를 찾을 수 없게 된다. 국가라는 것도 결국 인간이 만든 것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욕구 체계를 얘기하지 않고서 전쟁을 논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다. 전쟁은 그저 규모가 커진 다툼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우리는 2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

문명과 전쟁 (아자 가트) - 교유서가

인간은 왜 싸울까? 전쟁은 왜 끊이질 않을까? 우리는 평화를 너무나 원하지만 그럼에도 끊임없이 싸운다. 총칼을 들고 싸우는 전쟁을 벗어나더라도 인간은 늘 경쟁하고 다툰다. 순위를 매기고 승자를 정한다. 생태계 많은 종들 또한 싸움이 없는 것이 아니지만 인간의 것이라 조금 더 특별해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이 전쟁의 이유를 9년 동안 파헤친 아자 가트는 여러 분야의 학문을 연구하여 전쟁의 이유를 설명한다. 이 책은 단정 짓지 않는다는 점에서 굉장히 읽기 불편하다. 저자는 마치 정답을 알려주는 듯하면서도 다른 의견을 바로 제시한다. 그러다 보니 읽는 도중에 머릿속에서 복잡해져 버린다. 정답을 원하는 독자는 혼란스러운 상황에 빠진다. 방금 뭐라고 했지? 라며 다시 앞으로 돌아가 읽는 일이 허다하다. 그렇기 때..

반응형